+ 카메라를 들고 떠나다/문화유산 답사기 27

[속리산 법주사와 정이품송] 팔상전과 금동미륵대불이 있는 세계문화유산

2023.11.21 보은 법주사는 속리산에 있는 사찰로 속리산 세조길을 걷는 중에 다녀올수 있는 절이다. 속리산 등산 후 내려와 방문한 법주사. https://wonhaeng.tistory.com/486 [속리산 문장대] 세조길 걸어 문장대까지 등산코스 2023.11.21 (블랙야크 100대 명산) 속리산에서 인기있는 문장대 코스를 걷기 위해 속리산 법주사 탐방지원센터 소형주차장에 도착, 평일 이른 아침이라 아직은 텅빈 모습이다. * 소형주차장 위치 : wonhaeng.tistory.com 보은 속리산 법주사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 속리산 법주사 일원 안내도 법주사는 2018년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사찰이다. 금강문 금강문을 통해 경내로 들..

[정선 정암사] 기도의 성지 적멸보궁과 수마노탑

2023.07.19 만항재에서 고한읍 방면으로 내려가는 길에 정암1교를 건너면 우측에 정암사가 위치해 있다. 정암사는 삼국시대 신라의 고승 자장율사가 지은 사찰로, 당나라 오대산에서 지성으로 기도한 후 문수보살로부터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받아 선덕여왕 12년에 창건하였다. 도로변에 인접해 있는 정암사는 여느 사찰처럼 산길을 올라야 하는 부담이 없다. 주차장에서 바로 일주문을 지나 경내가 멀지 않기때문에 누구나 쉽게 다녀올 수 있는 사찰이다. * 주차 무료 오는 8월5일에는 자장율사의 위엄을 기리고 석탄산업 희생자와 강원랜드 등 지역발전 이면에 안타까운 삶을 마감한 사람들의 해원과 지역의 상생을 발원하는 2023년 정선 정암사 개산문화제를 봉행한다. 6일에는 산사음악회와 함백산 다양성의 날 행사도 열린다고..

[영월 청령포와 장릉] 조선 제6대 왕 단종의 유배지와 능

2023.01.01 청령포 국가지정 명승 제50호 새해 아침 별마로 천문대에서 해돋이를 보고 청령포로 이동했다. 주차장에서 사진의 시설물이 있는 곳으로 가면 매표소가 나온다. * 주차 무료 https://wonhaeng.tistory.com/400 [영월 별마로 천문대] 2023 새해 첫 해돋이 2023.01.01 일상생활이 180도로 변할만큼 숨쉬기 조차 힘들었던 한 해가 지나고 드디어 계묘년의 새아침이 열렸다. 희망찬 새출발을 위해 새해 첫날 해돋이 보러 출발!! 동해나 강릉까지는 너무 멀 wonhaeng.tistory.com 국가지정 명승 제50호인 청령포는 입장료가 있다. * 매표시간 : 09:00 ~ 17:00 * 입장료 : 어른3,000원, 청소년2,500원, 어린이2,000원, 경로1,000..

[강화 석모도 보문사] 눈썹바위 마애불과 소원이 이루어지는 길

2022.11.20 인천 강화도 서쪽의 석모도에 자리한 보문사는 양양 낙산사, 금산 보리암과 함께 우리나라 3대 해상 관음기도 도량이라고 한다. 보문사 입구에서 일주문을 지나 보문사 경내까지는 가파른 오르막길을 올라야 한다. 일주문 길가로 즐비하게 늘어선 음식점과 동네 어르신들의 노점을 지나면 일주문이 있다. 일주문은 문 밖의 사바세계와 문 안의 부처님의 세계를 나누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고 한다. * 주차비 : 2,000원 * 입장료 : 2,000원 * 관람시간 : 하절기 07:00~19:00, 동절기 07:00~18:00 일주문을 지나서도 오르막길은 계속 된다. 어르신들이나 체력이 약하신 분들은 이 길을 오르다가 지칠수도 있으니 중간에 마련된 쉼터에서 쉬엄쉬엄 올라가는 것도 좋다. 휴일이라 그런지 방..

[강화 전등사]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삼랑성 내의 천년고찰

[강화 전등사]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정족산 삼랑성 내의 천년고찰 문화유산 답사기 인천 강화 Photographed by BayZer™ 2021.09.18 동문주차장에 주차후 전등사로 가는 길 동문주차장 입구를 지나 500m정도 더 진행하면 남문주차장도 있다. 남문 방향쪽이 올라가기가 조금 더 수월하다고 하는데 왠지 동문 쪽이 정문같이 느껴져 올때마다 이곳으로 올라간다. 주차장에서 많은 식당들을 지난후 햇살을 잔뜩 머금은 울창한 숲길을 올라가야 한다. 전등사 입구(삼랑성) 동문매표소까지는 주차장에서 10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강화 삼랑성 Samnangseong Fortress, Ganghwa 사적 제130호 동문매표소 전등사로 들어갈수 있는 문은 정족산성이라고도 불리는 삼랑성 동문과 남문이 있다. 삼랑..

[서울 길상사] 법정스님 진영각과 공덕주 길상화 사당

[서울 성북동 길상사] 법정스님 진영각과 공덕주 길상화 보살의 사당 문화유산 답사기 서울 성북동 Photographed by BayZer™ 2021.09.18 길상사 정문에서 언덕을 올라가면 무료 주차장이 있다. 아침 6:30분쯤, 이 시각에는 주차하기가 수월하다. 길상사 입구 출입명부 작성후 입장하면 된다. * 입장료 : 없음 길상사 조감도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 설법전과 관세음보살상 설법전 길을 따라 올라가면 제일 먼저 설법전과 마주하게 된다. 설법전 앞에 관세음보살상이 있다. 관세음보살상 천주교 신자인 최종태 조각가가 제작한 조각품으로, 법정스님의 종교 간 화합을 염원하는 마음이 담긴것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성모 마리아와 비슷한 분위기의 온화함이 보인다. 관세음보살상 앞에 작은 소망들이 ..

[강화 전적지 답사여행] 신미양요의 아픈 역사, 초지진, 덕진진, 광성보, 갑곶돈, 고려궁지

[강화 전적지 답사여행] 강화나들길 2코스 호국돈대길 주요 지점 답사 문화유산 답사기 인천 강화 Photographed by BayZer™ 2021.09.04 마니산 등산을 마치고 날씨가 너무 좋아 강화까지 온김에 어디라도 들려야 할것 같았다. "2021년 7월1일부터 전적지 무료화 운영 실시"라는 현수막을 보고 전적지를 차례대로 돌아 강화대교로 넘어가는 코스로 계획을 잡았다. 오늘의 코스 마니산 - 초지진 - 덕진진 - 광성보 - 갑곶돈 - 고려궁지 - 강화산성 북문 *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갑곶돈부터 초지진까지 이 코스는 강화나들길 2코스 호국돈대길의 주요 지점이었다. 오늘은 자차로 이동하며 들려보기로 한다. 초지진 Chojijin Fort 사적 제225호 인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624 초지진 입..

부안 능가산 내소사

부안 능가산 내소사 " 불기 2558년 부처님오신날, 전나무길이 아름다운 내소사를 가다 " 2014.05.03, Buan 28 Photos ⓒ wonhaeng.com, photographed by BayZer™ 내소사 입구 일주문 앞에 마을의 신목인 수령 약700년의 할아버지 당산나무가 서있다.이곳에서 입암 당산제가 열린다고 한다. 내소사 경내에는 수령 약1,000년의 할머니 당산이 있다. 일주문을 지나면 700여 그루의 곧은 전나무숲길이 천왕문까지 이어진다. 제7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함께 나누고픈 숲길"로 선정되어 아름다운 공존상을 수상한 숲길이다. 모든것이 소생한다는 의미를 담은 내소사의 이름처럼 봄의 기운을 느끼며 울창한 터널숲을 걸어보자. 하늘을 향한 전나무가 늘어선 길을 걷다보면 특유의..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서삼릉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서삼릉을 가다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산 40 (서삼릉길 233-126) 21 Photos 2013.07.07 ⓒWonHaeng.com, Photographed by BayZer™ 조선왕릉은 "세계문화 및 자연 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6월 30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세계유산 조선왕릉은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능으로 42기가 온전히 보존되어 있다. 그중 북한 개성에 있는 제릉(태조 원비 신의왕후의 능)과 후릉 (정종과 정인왕후의 능)을 제외한 40기가 남한에 있다. 아름다운 자연이 어우러진 신성한 공간으로 지금까지도 이곳에서 제례가 이어져 오는 살아있는 문화유산이다. 희릉과 예릉, 비공개 지역..

강화 정족산, 전등사 정족산사고와 성돌이길

전등사 정족산 사고와 성돌이길의 풍경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31 Photos 2013.05.17 ⓒWonHaeng.com, Photographed by BayZer™ 정족산 사고 앞뜰에 작은 돌탑들이 쌓여있다. 숙종 때인 1678년, 조선왕조실록을 전등사에 보관하기 시작하면서 전등사는 왕실종찰로서 더욱 성장했다. 본래 왕실에서는 실록을 4부씩 만들어 궁궐 내의 춘추관과 충주, 성주, 전주 등 네 군데의 사고(史庫)에 보관하도록 했다. 하지만 임진왜란 때 모두 소실되고 전주 사고만 무사했다. 이때 전주 사고본이 보존된 것만 해도 우리 역사에서 천만다행한 일이었다. 조정에서는 임진왜란 후 전주 사고본을 4부씩 옮겨 적게 하여 전주 사고본은 강화도 전등사로 옮겼고, 다른 실록은 봉화군 태백산..

불기 2557년 부처님 오신날, 강화 전등사를 가다

불기 2557년 부처님 오신날, 강화 전등사를 가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37 Photos 2013.05.17 ⓒWonHaeng.com, Photographed by BayZer™ 조선왕조실록이 보관되었던 정족산 사고가 있는곳, 부처님 오신날을 맞이하여 전등사에 다녀왔다. 전등사 윤장대 윤장대란 불교경전을 넣은 책장에 축을 달아 돌릴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윤장대를 한번 돌리면 경전을 읽은 것과 같은 공덕이 있다고 한다. 전등사 윤장대는 보물 제684호를 똑같이 재현한 것이다. 대조루를 오르는 계단에 연등터널이 설치되어 있다. 전등사는 고구려 소수림왕 때 신라로 불교를 전파하러 가던 아도화상이 잠시 머무르며 지은 절로 옛날 이름은 진종사였으며, 고려 말 충렬왕 비인 정화궁주가 이곳에 ..

성공회 강화성당, 우리나라 최초의 성당 (사적 제424호)

우리나라 최초의 성당 인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250 9 Photos 2012.10.21 ⓒWonHaeng.com, Photographed by BayZer™ 본 성당은 고요한 (Charies Jone Corfe) 초대 주교가 1900년에 축성한 건물로 성베드로와 바우로 성당으로 명명되었다. 당시 건축 공사는 궁궐 도편수가 주도하였고, 이후 몇차례 보수가 있었으나 처음의 모습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 성당터는 세상을 구원하는 방주로서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위해 배의 형상을 따랐다고 한다. 성당 건물은 장방형 (넓이 4칸, 길이 10칸) 중층 구조로 전체적인 건축양식은 한국 정통양식을 따르고 있다. 성당 앞마당에는 큰 보리수나무 두그루가 서있다고 하는데 당시에는 몰랐던 사실이다. 배치와 내부구조는 서양식 ..

정선 정암사, 기도의 성지 적멸보궁을 가다

석가모니불의 진신사리가 모셔진 정암사 적멸보궁과 수마노탑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214-1 39 Photos (HDR Toning) 2013.01.20 ⓒWonHaeng.com, Photographed by BayZer™ 고한읍에서 태백 방향으로 빠져나와 상갈래삼거리에서 우회전 길인 만항재 방면으로 들어선다. 정암1교를 건너기전에 좌측에 정암사의 일주문이 보인다. 정암사는 산길을 올라가야 한다거나 일주문에서 경내가 멀지도 않아 누구나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사찰이다. 정암사는 신라시대의 고승 자장율사가 당나라 오대산에서 지성으로 기도한 후 문수보살로부터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받아 선덕여왕 12년에 창건한 사찰이다. 이름은 잘 모르겠지만 소원 하나는 꼭 들어줄것만 같았나보다. 가슴과 배 부분을 너무 쓰..

용흥궁, 강화도령 원범(철종)이 왕위에 오르기전 거처하였던 곳

용흥궁은 강화도령 원범(철종 아명)이 5년간 살던 초가집을 그가 왕이 된 후 강화유수 정기세가 기와집으로 다시 지은 것이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원범이 왕이 되던 그 해(1849년) 봄부터 한줄기 밝은 빛이 원범이 살고있던 초가집쪽으로 비추어서 용(龍)이 일어날 조짐이라 하였다. 그 해 6월 원범을 모셔가기 위한 봉영단 일행이 강화도 도착하기 하루 전에야 그 빛이 사라졌다고 해서 '용이 일어난 집'을 뜻하는 용흥궁이라고 불렀다 한다. 좁은 골목안에 대문을 세우고 행낭채를 두고 있어 창덕궁 낙선재와 같이 소박한 분위기를 풍긴다. 용흥궁의 가을 궁 안에는 철종의 잠저임을 기록한 비석과 비각이 있다. 이곳은 강화도령 첫사랑길의 시작점으로 철종 외가까지 걸을 수 있는 길이다. 원범이 강화도에서의 귀양살이 중 강..

영월 사자산 법흥사, 한국 5대적멸보궁을 가다

사자산 법흥사 일주문 "지혜광명의 성지, 사자산 법흥사 적멸보궁을 가다" 법흥사는 강원도 영월 사자산 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로 통일신라말기 선문9산중 사자산문의 중심도량인 흥령선원지의 옛 터다. 이곳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적멸보궁이 있는데, 정선 정암사를 비롯해 오대산 상원사, 양산 통도사, 설악산 봉정암과 함께 한국 5대 적멸보궁 가운데 하나다. 극락전 흥녕사 징효대사보인탑비 (보물 제612호) 보물 제612호 지정되어 있는 이 비석은 혜종1년(943)에 세운 것으로 흥녕사 (법흥사의 옛 이름)에서 선종의 법문을 크게 일을켰던 징효대사의 비다. 여의주를 물고있는 거북모양의 받침과 비석위에 용을 새긴 비 머릿돌을 얹었고 그 위에는 구슬모양의 보주를 얹어 전체적으로 섬세하면서도 웅건한 느낌을 주는 ..

경복궁 야간개방

경복궁 야간개방을 하던날.. 마지막날인 20일날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루었습니다.. 개방기간 : 2012.5.16 ~ 5.20 (10시까지) 개방구간 : 근정전, 수정전, 경회루 자리를 잡지못해 헤매다가 겨우 자리잡은곳,, 아쉽지만 그래도 아름다운 경회루를 담을수있어 다행이네요^^ 10시가 다되어가는 시간에 그나마 자리가 생겼습니다. 근정전 수정전 공연 다음 야간개방은 10월에 있을 예정이라네요^^

경복궁 #10 태원전, 집옥재

[조선 왕조 제일의 궁궐을 만나다] 경복궁 #10 태원전과 집옥재 카메라를 들고 떠나다 / 문화유산 답사기 서울 종로 Photographed by BayZer™ 2012.03.03 경복궁 현황도 집옥재 (集玉齋 Jibokjae) 1876년 경복궁에 큰 불이나자 고종은 창덕궁으로 옮겼다가 1888년에 다시 경복궁으로 돌아와 주로 건청궁에 기거했다. 이미 창덕궁에 지어졌던 집옥재, 협길당 등을 1891년에 건청궁 서편으로 옮겨 와 주로 서재와 외국 사신 접견소로 사용했다. 집옥재 일원 집옥재는 양 옆벽을 벽돌로 쌓고 내부를 중2층으로 만들었으며, 서쪽으로는 팔각형의 2층 정자인 팔우정이 이어져 있고, 동쪽으로는 협길당이 이어져 있다. 이 건물들은 중국풍의 요소들이 많이 섞여 있어 궐내에서 이국적인 지역을 형..

경복궁 #9 향원정, 건청궁

[조선 왕조 제일의 궁궐을 만나다] 경복궁 #9 향원정과 건청궁 카메라를 들고 떠나다 / 문화유산 답사기 서울 종로 Photographed by BayZer™ 2012.03.03 경복궁 현황도 향원정 (香遠亭 Hyangwonjeong) 후궁영역의 뒤 정원으로 만들어진 연못 안에는 원래 취로정이 있었는데, 건청궁을 창건하면서 그 자리에 향원정을 새로 지어 건청궁의 앞 정원이 되었다. 향원정 (香遠亭 Hyangwonjeong) 향원정은 1873년 고종이 건청궁을 지을 때 새롭게 조성된 것으로, 부정형의 연못에 둥근 인공의 섬을 만들고 그 위에 육모 지붕을 얹은 2층 정자를 세웠다. 향원정은 '향기가 멀리 퍼져 나간다'는 뜻으로 그 이름에서 향원지 연못에 원래 연(꽃)이 심겨져 있었음을 알수 있다. 경회루가 ..

경복궁 #8 경회루, 함화당과 집경당

[조선 왕조 제일의 궁궐을 만나다] 경복궁 #8 경회루, 함화당과 집경당 카메라를 들고 떠나다 / 문화유산 답사기 서울 종로 Photographed by BayZer™ 2012.03.03 경복궁 현황도 경회루 (慶會樓 Gyeonghoeru) 경회루는 왕실의 큰 연회를 베풀거나 외국 사신을 접대하던 곳으로 1867년에 재건되었다. 경회루 (慶會樓 Gyeonghoeru) 경회루는 침전영역 서쪽에 위치한 연못 안에 조성된 누각으로, 정면 7칸, 측면 5칸의 중층건물이다. 경복궁 창건 당시는 작은 누각이었던 것을 1412년 (태종12년)에 크게 연못을 파고 지금과 같은 규모로 만들었다. 경회루 (국보 제224호) 성종 때는 건물이 기울어져 다시 고쳐 지으면서 돌기둥에 용과 꽃 장식을 하여 화려하게 치장하였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