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메라를 들고 떠나다 410

경복궁 #4 강녕전

[조선 왕조 제일의 궁궐을 만나다] 경복궁 #4 강녕전 카메라를 들고 떠나다 / 문화유산 답사기 서울 종로 Photographed by BayZer™ 2012.03.03 경복궁 현황도 강녕전 (康寧殿 Gangnyeongjeon) 왕과 왕비의 생활공간으로 침전 영역을 이룬다. 사랑채에 해당하는 강녕전은 왕이 독서와 휴식, 신하들과 면담을 하던 곳으로, 1918년 강녕전과 그 주위 전각들을 모두 헐어 창덕궁으로 옮겨 사라진 것을 1995년에 복원하였다. 향오문 (嚮五門 Hyangomun) 사정전을 뒤돌아 가면 북쪽 행각 중간에 향오문이 나오는데 이곳이 바로 궁궐의 침전영역인 강녕전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향오문에 딸린 좌우 행각의 중간쯤에 좌측에는 용부문, 우측에는 안지문이 하나씩 더 배치되어 있다. 향오문 ..

경복궁 #3 동궁, 사정전

[조선 왕조 제일의 궁궐을 만나다] 경복궁 #3 동궁과 사정전 카메라를 들고 떠나다 / 문화유산 답사기 서울 종로 Photographed by BayZer™ 2012.03.03 동궁 (東宮 Donggung : 비현각, 자선당) 왕세자는 떠오르는 해와 같아서 세자궁을 동쪽에 세워 동궁이라 부른다. 자선당은 세자가 거처하던 곳이며, 비현각은 공부를 하며 정무도 보던 외전에 해당한다. 남쪽의 춘방터에는 세자 교육을 담당하던 시강원이, 계방터에는 경호와 의전을 담당하던 관청이 있었다. 동궁영역 근정전 동쪽 행각에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융문루를 통해 나오면 동궁 영역이 있다. 동궁영역으로 들어서면 저멀리 정면에 경복궁 동쪽 담장의 건춘문이 보인다. 그 앞으로 계방터와 춘방터가 있는데 아직은 복원이 안되어 있었다...

경복궁 #2 근정문, 근정전

[조선 왕조 제일의 궁궐을 만나다] 경복궁 #2 근정전과 근정문 카메라를 들고 떠나다 / 문화유산 답사기 서울 종로 Photographed by BayZer™ 2012.03.03 경복궁 현황도 근정문 (勤政門 Geunjeongmun) 근정문 (勤政門 Geunjeongmun) 영제교를 건너면 바로 앞에 있는 문으로 왕과 신하가 만나는 조참행사를 행하였던 곳이다. 1395년 경복궁이 처음 지어진 이래 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 등을 거치면서 수많은 수모를 겪었다. 근정문 현판 근정문의 이름은 정도전이 지었으며, 현판은 형조판서와 홍문관제학, 예조판서, 수원유수 등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인 신석희가 썼다. 근정문 답도 근정문으로 오르는 계단 중앙에 답도를 두었으며 답도 옆으로는 디딤돌을 3층으로 ..

경복궁 #1 광화문, 흥례문

[조선 왕조 제일의 궁궐을 만나다] 경복궁 #1 광화문과 흥례문 카메라를 들고 떠나다 / 문화유산 답사기 서울 종로 Photographed by BayZer™ 2012.03.03 경복궁은 조선 왕조를 대표하는 제일의 궁궐이다. 조선 왕조를 세운 태조가 나라의 기틀을 새롭게 다지기 위해 가장 먼저 건립한 궁궐로서, 역사가 가장 오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규모가 크고 격식도 매우 엄중하다. 찬란한 문화유산인 조선왕조 제일의 궁궐, 경복궁 (사적 제117호)을 만나본다. 광화문 (光化門 Gwanghwamun) 광화문 안내도 궁궐의 바깥 경계에 높은 담장을 쌓았고, 담장의 동서남북 네곳에 대문을 만들었다. 동쪽에는 건춘문, 서쪽에는 영추문, 남쪽에는 광화문, 북쪽에는 신무문을 두었다. 광화문 (光化門 Gwanghw..

[태백산 천제단] 당골코스, 백두대간의 영산을 가다

[태백산 천제단] 당골매표소 - 반재 - 망경사 - 천제단 - 장군봉 (당골코스 원점회귀) 둘이가는 산악회 / TMC 산행기 강원도 / 태백 Photographed by BayZer™ 2012.01.15 오늘의 코스 (당골 코스) 태백 당골매표소 (당골광장) - 반재 - 망경사 (용정) - 천제단 - 장군봉 (주목군락지) * 편도 4.4km, 2시간30분 소요 최근 태백산 산행기를 보려면 아래 링크 이용 https://wonhaeng.tistory.com/405 [태백산 장군봉 천제단] 유일사코스 당골광장까지 눈꽃산행 2023.01.29 유일사 주차장 도착시간 07:26 민족의 영산인 태백산 정상 천제단에는 CCTV가 설치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기상상황 등을 미리 확인해 볼수 있다. 전날 확인해보니 상고대..

맴섬 일출과 붉은 낙조를 간직한 해남 땅끝마을

원행이야기 > 전라남도 > 해남 > 땅끝마을 해남 땅끝마을을 가다부천소풍터미널 출발 (06:40) - 목포터미널 도착 (11:10) - 해남 무선동 한옥민박마을도착 (12:20)2월 18일(토요일). 오랜만에 버스를 타고 출발해보는거 같다. 집에서 05:30분에 나와 가까운 소풍터미널까지 걸어가니 40분정도 걸렸다. 미리 예매해둔 티켓을 받고 기다리는 30분간의 시간동안 피곤함도 잊은채 수학여행 가는 기분으로 들떠있었다. 인천에서 해남으로 가는 방법은 인천터미널이나 부천 소풍터미널에서 고속버스를 이용, 광주나 목포로 가서 다시 해남으로 가는 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일 무난한 것 같다. 인천터미널 버스 운행정보 : 광주행, 목포행 부안쯤 지나니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버스에서 폰으로 찍은 사진) 눈길 ..

[삼척 두타산 무릉계곡] 쌍폭포와 용추폭포, 하늘문, 이곳이 바로 선경

[삼척 두타산 무릉계곡] 쌍폭포와 용추폭포, 하늘문, 이곳이 바로 선경 Photographed by BayZer™ 2010.07.18 여름휴가 겸 떠나온 이번 여행의 행선지는 강원도 삼척의 무릉계곡. 구름이 많은 가운데 일출이 시작되는 시간 동해에서 무릉계곡 진입하는 길 입구. 위치상 어찌보면 동해라고 해도 무방할만큼 동해에서 가까운 곳에 있다. 무릉계곡 주차장에는 몇대의 차밖에 없다. 제2주차장인 두타광장에 주차를 하고 내리자마자 공기가 틀린게 느껴진다. 한여름에도 서늘한 기운이 남아 있다. 주차비 : 2,000원 입장료 : 어른개인 1,500원 호암소무릉구곡중의 일곡. 주차장에서 나와 다리를 건너다 아래를 내려다보면 제일 먼저 호암소를 만날수 있다. 옛날 도술에 능한 고승이 이곳을 지나다가 호랑이가 ..